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Mental Health,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y the Clusters of Adolescents' Internet Use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the clusters of adolescents' (N = 508) internet us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dices including their mental health,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capacity. The participants included 239 middle school students and 269 high school students from Seoul and Gyeonggi-do. First, the general patterns of adolescents' internet use was summarized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extracted factors were subject to a subsequent cluster analysis to explore natural groupings of adolescents in terms of their internet use.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and named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four clusters extracted in terms of their scores on indices of mental health,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can help establish the directions for counseling or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keywords
인터넷 사용유형, 청소년,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자기조절 학습능력, Clusters of Adolescents' Internet Use, Mental Health, Self-efficacy,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eference

1.

권구영, 이혜자 (2002).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3. 59-86.

2.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ised). 중앙적성출판부.

3.

김상미, Lwin Lwin Cho, 정익중, 임보람 (2011).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유형이 학교부적응과 학업성적을 매개로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0,. 175-195.

4.

김세영 (2005).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에 따른 인터넷 활용유형, 자기통제력, 자기조절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진숙 (2000). 청소년의 PC중독 사례와 상담적 접근. 청소년상담문제연구 보고서, 39.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6.

김희자 (2009). 중학생의 인터넷 이용유형과 사회자본-이용시간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시설학회지, 7(1), 27-37.

7.

류진아 (2003).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체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박승민 (2009). 청소년 인터넷 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애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3), 607-623.

9.

배주미, 조영미, 정혜연 (2013). 초등학생 인터넷중독 위험군 유형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4(2), 233-259.

10.

송명준. 권정혜 (2000).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현황 및 인터넷 중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임상심리학회 연차대회 발표논문집, 123-129.

11.

송원영 (1998).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안경옥 (2005). 인터넷 사용유형과 중독여부에 따른 친구관계 및 가상공간의 현실지각.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안선정 (2005). 인터넷 사용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사회성과 자기효능감.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양돈규 (2001).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과 인터넷 중독 경향 및 인터넷 관련 비행간의 상관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7(2), 117-136.

15.

양명희 (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윤재희 (1998). 인터넷 중독과 우울, 충동성, 감각추구성향 및 대인관계의 연관성.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윤혜정, 유순화 (2007). 중학생의 인터넷 사용 유형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 교육연구, 17, 39-60.

18.

이계원 (2001).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이동귀. 이수란 (2009).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애착유형 분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55-67.

20.

이병국 (1999). PC 통신 유형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형성에 관한 연구-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장윤재, 김소희 (2008). 컴퓨터 이용이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언론정보연구, 45(1), 67-96.

22.

전신현 (2012). 고등학생들의 인터넷사용 및 그 유형과 우울의 관계: 성별 차이의 검증을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 32, 153-173.

23.

조영미, 김동민, 송경수, 유지현 (2009). 청소년 인식에 의한 인터넷 중독의 원인 탐색; 개념도 접근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0(1), 469-483.

24.

조범행 (2003). 중학생의 인터넷 사용과 자아개념 및 성적간의 관계.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천명재, 김창대 (2008). 인터넷 이용동기 프로파일에 의한 인터넷 중독자 분류. 상담학연구, 6(1), 211-227.

26.

홍경희 (2002). 중학생들의 인터넷 과다사용과 가정환경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뉴시스아이즈 제122호 (2009년 3월 16일자).

28.

통계청 (2009). 2009 청소년 통계. 통계개발원.

29.

Derogatis, L. R. (1977). SCL-90(Revised) Manual I. Clinical psychometrics research unit.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30.

Derogatis, L., & Melisaratos, N. (1983). The Brief Symptom Inventory: An introductory report. Psychological Medicine, 13, 595-605.

31.

Hair, J. F., & Black, W. C. (2000). Cluster analysis. In L. G. Grim & P. R. Yarnold (Ed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pp.147-20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2.

Heitner, E. I.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of the internet and social development in adolescence. Doctoral Dissertation, Pace University.

33.

Henry, J. W., & Stone, R. W. (1997).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mputer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cales in a nonvolitional context.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and Computers, 29(4), 519-527.

34.

Korgaonkar, P. K., & Wolin, L. D. (1999). A multivariate analysis of web usag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9(2), 53-68.

35.

Paulhus, D. (1983). Sphere-specific measures of perceived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6), 1253-1265.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