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Job Stress Experience by Middle-aged Female Teacher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female teachers by finding outwhat their job-related stress was and examining on their life.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ee times to sixfemale teachers who were middle-aged and have worked at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for more than20 year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sed and interpreted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method introduced by Giorgi. From a thorough investigation 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114meaning units were derived. Based on them 24 sub-constituents and 9 constituents were constructed. Theresult showed that teaching and student guidance, fellow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orkload and theeducational system caused the job stress of middle-aged female teachers. The level of stress increases ordecreases according to rigid attitudes, responsibility and will to act. The experiences of stress can be anobstacle to get frustrated. However, the experiences of stress can be ultimately a good stepping stone tochange a life. A cause factor of work stress, a control factor and the result of the experiences areconsidered a phenomenon that is associated in a cyclical system.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job stressexperienced by middle-aged female teachers can be described as growing and becoming mature after thepains and frustrations. Limitations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discussed.

keywords
middle-aged female teacher, job stress, the experience of job stress, phenomenological study, 중년여교사, 직무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 경험, 현상학적 연구

Reference

1.

강재홍 (2007). 일반계 고등학교 담임교사의 교직활동에 관한 질적 분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면 (2005).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이 (2011). 유치원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에따른 직무 만족도.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기남 (2011). 초등학교 교사의 학부모 관계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기봉 (2004).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지각과 대처수준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기영 (2007).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학부모와의 의사소통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병섭 (1994). 공무원의 복지부동과 직무몰입도: 동기이론과 스트레스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28(4), 1279-1300.

8.

김선경 (2011).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지각한학교상담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상담학연구, 12(5), 1473-1488.

9.

김성기, 황준성 (2012). 초․중등 교원의 명예퇴직 사유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9(4), 109-127.

10.

김수은 (2010). 초등학교 겸임보직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1.

김영재 (1999). 교사의 성격유형과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법.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용배 (2004). 고등학교 보직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정미 (2008). 초등교사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식과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정하 (2000). 중등 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이 직무스트레스, 응집성, 조직효과성에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4(1), 11-21.

15.

김정휘 (1991).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정신. 신체적 증상 또는 설진과의 관계: A형 성격과 사회적 지원의 완충 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김정휘, 김태욱 (2006).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탈진. 서울: 박학사.

17.

김철진 (1990). 교사의 건강실태 분석적 연구:경기도 초등교사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혜경 (2011). 직무환경, 완벽주의,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김혜나 (201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사회.정서적 행동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류위자 (2012).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중년기 여교사의 우울, 행복 및 감사성향에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류현미 (2003). 성격유형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중․고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탈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미옥 (2003). 중등 여교사들의 삶과 문화에 대한 연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미자 (2002).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조직풍토와인간관계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상기 (2005). 울산광역시 중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영숙 (2003). 교직 활성화를 위한 교직문화 변화전략 개발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6.

박영호, 김정인 (2000).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강인성의 역할. 교육이론과 실천, 10(1), 453-481.

27.

변세진 (2013). 공립 유치원 방과후 과정 강사의직무 수행 상의 어려움.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백 화 (2006). 중등학교 교사가 학교생활에서지각하는 갈등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서종문 (2007). 중등학교 교사의 정보 활용 능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신경림, 고명숙, 공병혜, 김경선, 김미영, 김은하, 노승옥, 노영희, 양진향, 조명옥 (2004). 질적 연구 방법론.

31.

연합뉴스 (2013. 5. 14). 스승의 날 ‘우울한 학교’…“학생 과반 교육으로 고통”.

32.

오유나 (2011).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빗속의 사람 그림 반응특성의 관계.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옥성수 (2012).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유선자 (2009). 중년여성의 자아탄력성에 따른스트레스와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이경희 (2003). 중등기혼여교사의 다중역할 갈등.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준희 (2012). 중등교사의 스포츠여가 참여에따른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분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난숙 (1992). 교사의 직능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이상은 (2008).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특수교사들의 직무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성은 (2004).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상관관계 분석: 서울시내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정선 (2000). 성격유형과 직무만족요인과의 관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준효 (2005). 중등교사 직무스트레스 조사도구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이호재 (2003). 중년위기 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

임지윤 (2011). 교사의 정서노동과 정서조절이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조윤주 (2008). 중년 여교사의 에니어그램을 통한 자아성찰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중부매일 (2008. 11. 30). 교사 가늠쇠 원리.

46.

정광주 (2009). 중년기 교사의 교직 생활에 대한생애사 연구: 생애사건, 전문성, 승진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정명숙 (2008).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장수진 (2004).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직무 스트레스 관계 연구. 춘천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정용진 (2010). 입시위주 교육 여건 속에서의 올바른 가톨릭 종교교육. 부산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정천복 (2005). 중등교사의 교사효능감에 관한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주혜란 (2007). 교사의 교육신념과 학교조직풍토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탁진국, 신필순 (1999).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원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4(1), 110-122.

53.

최상찬 (2001). 중등교사의 직무수행에 따른 스트레스 유형분류와 대처방안 모색.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한경진 (2008). 초․중․고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한국교육개발원 (2011). 교육통계 분석자료집.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6.

한수명 (2002). 중년여성으로서의 여교사: 부산북구지역 초등여교사를 중심으로. 부산교육학연구, 15(1), 203-223.

57.

홍미혜 (1999).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수준이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홍순희 (2012).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9.

Golembiewski, R. T., & Munzenrider, R. F. (1988). Phases of burnout. New York: Praeger.

60.

Jung, C. G. (1975).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syche, The Collected works of C. G. Jung, vol. 8. Princeton Univ. press.

61.

Leshan. E. (1973). The Wonderful Crisis of Middle Age. New York: Waner Paperback Library.

62.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63.

O'connor, D. J. (1985). Crisis and growth at a midlife: Change in the structure personal paradig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se Western University. USA.

64.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Newbury Park, CA: Sage.

65.

Webb, R. B., & Sikes, P. (1989). Teachers’careers. In R. R. Sherman (Ed.), Schooling and society (pp. 223-259). New York: Macmillan.

66.

Seidman, I. (1998).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