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Negative Self-Concept in Children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bstract

Childhood is a critical stage that determines the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youth and adulthood. Given this, careful treatments of aggression and self-concept of a child are essential to childhood mental health. Much work has established a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elf-concept. Indeed, it A line of studies have shown that negative self-concept is a predictor of aggression, but the specific nature of the relationship remains unknown. The present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nature of relation between aggression and self-concept by examining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 3-year longitudinal data collected from 2,844 4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was us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showed that a unidirectional pattern of relation between aggression and negative self-concept; aggression of chil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negative self-concept, whereas negative self-concept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aggression. This result point to the critical role of aggression in mental health, suggesting the need for early intervention for moderating excessive aggression.

keywords
공격성, 부정적 자아개념, 자기회귀교차지연 모델, Aggression, Negative self-concept,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Reference

1.

강진옥 (2009). 청소년의 내․외현적자기애와 자기개념명료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경은, 임지향 (2003). 자아개념 증진 집단미술활동이 아동의 공격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7(1), 25-40.

3.

김동기, 홍세희 (2007). 다층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외현적 공격성 변화 추정: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에 대한 생태학적 요인 검증. 조사연구, 8(2), 21-42.

4.

김선아 (2011). 아동청소년의 외현적 공격성, 내면문제 변화와 초기 보호요인(애착, 자아존중감, 통제, 양육태도)과의 관계: 초4-중2를 중심으로. 아시아아동복지연구, 9(1), 39-66.

5.

김주환, 홍세희, 김민규 (2009).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6.

김지현, 박경자 (2006).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외적 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아동학회지, 27(3), 149-168.

7.

김헌수, 김현실 (2004). 한국 청소년의 공격성 관련변인 및 표출경로. 신경정신의학, 43(1), 75-84.

8.

김현실 (2003). 청소년기의 공격성: 기여요인 및 관련이론. 청소년행동연구, 8, 1-28.

9.

박민정, 박혜원 (2006). 자아개념, 애착, 교사 및 또래 관계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 조선족 및 한족 청소년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3), 79-89.

10.

박우람, 홍상황 (2015).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정서조절, 질투와 시샘의 순차적 매개효과. 초등상담연구, 14(1), 1-23.

11.

변보기, 강석기 (2002).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적대감에 관한연구. 청소년학연구 9(3), 269-291.

12.

송미옥, 이승희 (2011). 부모애착과 또래관계스트레스가 여중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발달장애연구, 15(2), 1-20.

13.

송수지, 남궁지영, 김정민 (2012).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개념 발달양상 분석. 인간발달연구, 19(1), 215-238.

14.

송숙희 (2010). 외모스트레스와 공격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성결심리상담. 3, 99-122.

15.

심승원 (2001).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심지현 (2010). 문학치료를 통한 빈곤아동의 공격성 해소. 독서교육연구, 5, 1-38.

17.

여성가족부 (2014). 2014 청소년백서.

18.

오영진 (2010). 청소년기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의 발달궤적 변화와 유형화 예측변인.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오지민 (2011). 아동의 공격성 완화를 위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선 방안 연구: 인지행동이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유영창 (1999). 문제행동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유종관, 강승호 (1996).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행동특성 비교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경란 (2013).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혜수, 정옥분 (2004). 청소년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청소년의 공격성과의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6(1), 47-62.

24.

이홍, 김은정 (2012). 청소년의 공격성 하위 유형에 따른 인지 및 정서 특성. 청소년학연구, 19(1), 227-250.

25.

임주혜 (2009). 청소년 스트레스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기진술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임지영 (2012). 공격성 위험집단 청소년의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와 주도적, 반응적 공격성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9(12), 1- 30.

27.

정재영 (2013).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자기개념과 또래지각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채진영 (2012). 아동의 학업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9(1), 71-87.

29.

최영실, 이은자 (2008). 심리운동이 학령 전 아동의 자아개념, 사회성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14(4), 379-387.

3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패널조사.

31.

허정묵, 권민균 (2006).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 및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유아의 공격성의 관계. 과학논집, 32, 159-170. 계명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32.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 임상, 19, 161-177.

33.

홍세희, 황매향, 이은설 (2005).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잠재평균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9(4), 1159-1177.

34.

홍세희, 박민선, 김원정 (2007). 인터넷 중독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검증: 성별간 다집단 분석. 교육심리연구, 21(1), 129-143.

35.

홍태화, 황순택 (2015).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 간의 종단적 관계 검증. 청소년학연구, 22(11), 545-568.

36.

Arbuckle, J. L. (1996). Full information estimation in the presence of incomplete data. In G. A. Marcoulides and R. E. Schumacker(Eds). Advanc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sues and Techniques.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43-277.

37.

Bandalos, D. L., & Finney, S. J. (2001). Item parceling issu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developments and techniqu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69, V296.

38.

Bigler, M., Neimeyer, G. J., & Brown, E. (2001). The divided self revisited: Effects of self- concept clarity and self-concept differentiation on 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0(3), 396-415.

39.

Bohnett, A. M., Crnic, K. A., & Lim, K. G. (2003). Emotional competence and aggressive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uchology, 31(1), 79-97.

40.

Crick, N. R., & Werner, N. E. (1998). Response decision processes in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Child Development, 69(6), 1630- 1639.

41.

Harter, S. (1985). Manual for the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University of Denver.

42.

Heller, K. A. (2002). Identifying and nurturing the gifted in math, science, and technology. In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for the Gifted in Science (pp. 51-90).

43.

Huesmann, L. R., & Eron, L. D. (1984). Cognitive processes and the persistence of aggressive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10, 243-251.

44.

Janey, B. A., & 이희영 (2000). 초등학교 남학생의 공격성의 예언변인으로서의 비디오게임 놀이와 TV시청: 비교분석. 상담학연구, 1(1), 149-160.

45.

Loeber, R., & Stouthmer-Loeber, M. (1998). Development of jevenile aggression and violence: Some common misconception and controversies. American Psychologist, 53, 242- 259.

46.

MacKinnon, D. P. (2008). Introduction to statistical m ediation analysis. New York: Routledge.

47.

McMahon, S. D., & Watts, R. J. (2002). Ethnic identity in urban African American youth.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0(4), 411-432.

48.

Nelson, L. J., Rubin, K. H., & Fox, N. A. (2005). Social withdrawal, observed peer acceptance, and the development of self- perceptions in children ages 4 to 7 years. Early Child Res Q, 20(2), 185-200.

49.

O' Moore, A. M., & Hillery, B. (1998). Bullying in Dublin schools. Irish Journal of Psychology, 10, 429-441.

50.

Rigby, K., & Slee, P, T. (1993). Australian school children's self appraisal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e bullying experience. Child Psycholigy and Human Development, 23(4), 273- 382.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