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The Latent Profil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esting the Effects of Career Motivation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latent profiles in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examined how career motivation and ot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nd grade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profiles. A total of 475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M-Plus 7.0 program.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five types of latent profiles: adaptive career behavior type, unconcerned career behavior type, overcoming career behavior type, confused career behavior type, and struggling career behavior type. Regarding career motivation, career identity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cing factor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profiles, along with career insight and career resilience. Also, sex and grade affected several group differenc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진로스트레스, 진로준비행동, 진로동기, 잠재프로파일 분석, career stres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motivation, Latent Profile Analysis (LPA)

Reference

1.

강명희, 윤성혜, 김도희, 류다현 (2016).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진로동기간의 구조관계 규명: 진로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9(2), 27-47.

2.

강영미 유순화, 윤경미 (2009). 전문계 고등학생이 지각한 진로장애와 자아탄력성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6(1), 415-438.

3.

강현희 (2015). 폴리텍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28(1), 59-78.

4.

강희순 (2010). 대학생의 성별, 학년, 진로의식이 진로개발 준비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단, 9(3), 83-104.

5.

고경필 심미영 (2014).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취업 스트레스,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관계 분석. 진로교육연구, 27(1), 19-38.

6.

김명옥, 박영숙 (2012).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9(11), 69-90.

7.

김민정, 양현정 (2015). 진로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진로준비유형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6(1), 95-110.

8.

김보경 (2012).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보경, 정철영 (2012).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개인이 인식한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2), 49-71.

10.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김봉환 (2010). 여대생의 적응유연성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3(4), 93-111.

12.

김봉환, 김계현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 상담과 심리치료, 9(1), 311-333.

13.

김선중 (2005).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14.

김정화, 김미경, 김진경, 고은영 (2012).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따른 군집유형과 진로장애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 417-442.

15.

김지연, 이기학 (2014). 자아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취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진로교육연구, 27(3), 1-25.

16.

김진희 (2015). 진로정체성, 진로통찰력과 진로탄력성이 대학생의 취업 의지에 미치는 효과. 직업과 고용서비스 연구, 10(1), 47- 56.

17.

노언경, 홍세희 (2012)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 목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 한국청소년학연구, 23(3), 51-76.

18.

박정희, 김홍석, (2009).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6(11), 125-144.

19.

박희락 (2009).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통한 진로태도성숙의 예측.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서유진 (2007). 진로장애와 낙관성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손은령, 손진희 (2005).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준비행동-사회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399-417.

22.

신선임, 김수임 (2013).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결과기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5), 2681-2697.

23.

안권순 한건한 (2002). 청년기의 개인특성, 성역할 정체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3(2), 73- 102.

24.

안윤정, 서지윤 (2013). 대학생의 일희망과 진로동기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0(11), 55-81.

25.

안윤정, 문윤경 (2014). 대학생의 진로동기와 변화인식이 역량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7(3), 135-161.

26.

양진희, 김봉환 (2008). 여대생의 심리적 독립,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1(2), 57-71.

27.

이경주 (199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행동문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명숙 (2002)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지각,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상희 (2012).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3(3), 1461-1479.

30.

이숙정, 유지현 (2009). 여대생이 인식한 자기결정성이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장벽 및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여성연구, 48(2), 35-63.

31.

이재창 박미진, 김진희 (200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진로상담에 대한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0(2), 111-127.

32.

이제경 (2007).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발달의 대학전공 분야별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지혜 (2013).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탄력성에 따른 군집유형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 39-59.

34.

이현림, 김순미, 천미숙, 최숙경 (2008). 대학생의 진로장벽 지각, 진로스트레스, 진로발달 및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진로교육연구, 21(4), 59-80.

35.

이현주 (2011). 진로동기를 매개변인으로 한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27(4), 95-116.

36.

장형석 (2000).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원천과 대처전략. 부산대학교 학생생활연구, 30, 101-115.

37.

정의석, 노안영 (2001).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증 자아존중감 및 신체건강과의 관계연구. 학생생활연구. 전남대학교 카운슬링센터, 33, 85-101.

38.

조희, 이규영 (2006). 간호대학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정체감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학회지, 20(2), 163-173.

39.

지성구, 송윤희 (2013). 대학 저학년생의 직업지향성, 경력 초점, 전공 만족도 및 취업준비도 분석. 경영교육연구, 28, 573-598.

40.

최보영, 김보람, 김아름, 장선희, 정선화, 이상민 (2011) 우연의 영향력에 대한 지각의 차이가 진로스트레스, 진로미결정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2(5), 1873-1891.

41.

표은경 (2009). 여대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다른 취업 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한주옥 (2004). 여대생의 자기결정성 수준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황지영 박재황 (2010).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직업교육연구, 34, 73-101.

44.

Akaike, H. (1987). Factor analysis and AIC. Psychometrika, 52, 317-332.

45.

Day, R., & Allen, T. D.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ith protégé career suc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4, 72-91

46.

Dubin, R., & Champoux, J. E. (1975). Workers' central life interest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2), 165-174.

47.

Gordon, K. A. (1995). The self-concept and motivational patterns of resilient African-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Black Psychology, 21, 239-255.

48.

Guay, F., Ratelle, C. F., Senécal, C., Larose, S., & Deschênes, A. (2006). Distinguishing developmental from chronic career indecision: Self-efficacy, autonomy,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4(2), 235-251.

49.

Larson, M. L., & Majors, M. S. (1998). Application of th coping with career indecision instrument with adolesc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6, 163-179.

50.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York; Springer.

51.

Lo, Y., Mendell, N., & Rubin, D. (2001).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Biometrika, 8, 767-778.

52.

London, M. (1983). Toward a theory of career 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8, 620-630.

53.

London, M. (1997). Overcoming career barriers: A model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for realistic appraisal and constructive coping.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4, 25-38.

54.

London, M., & Mone, E. M. (1987). Career management and survival in the workplac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5.

Lopes, T. (2006). Differences in dimensions of career motivation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graduate students by age and gend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56.

McCrae, J. S., Champman, M. V., & Christ, S. L. (2006) Profile of children investigated for sexual abuse: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symptoms and service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6(4), 468-481.

57.

McLachlan, G., & Peel, D. (2000). Finite mixture models. New York: John Wiley.

58.

Miller, H. A., Turner, K., & Henderson, C. E. (2009). Psychopathology of sex offenders: a comparison of males and female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36, 778-793.

59.

Morin, A. J. S., Madore, I., Morizot, J., Boudrias, J. -S., & Tremblay, M. (2009). Multiple Targets of workplace affective commitment: Factor structure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workplace affective commitment multidimensional questionnaire. Advances in Psychology Research, 59, 45-75.

60.

Muthén, B. O. (2004). Latent variable analysis. In D. Kaplan (Ed.), Handbook of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the social science (pp. 345-368). Thousand Oaks, CA: Sage.

61.

Muthén, L. K., & Muthén, B. O. (2006). Mplus, Los Angeles, CA: Muthén, & Muthén.

62.

Muthén, L. K., & Muthén, B. O. (1998-2007). Mplus User's Guide (5th ed). Los Angeles, CA: Muthén, & Muthén.

63.

Noe, R. A., Noe, A. W., & Bachhuber, J. A. (1990). An investigation of the correlates of career motiv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7(3), 340-356.

64.

Pastor, D. A., Barron, K. E., Miller, B. J., & Davis, S. L. (2007).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2(1), 8-47.

65.

Raftery, A. E. (1995). Bayesian model selection in social research. Sociological methodology, 25, 111-163.

66.

Ryan, R. M., & Deci, E. L. (2000).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1), 111-163.

67.

Salancik (1977). Committeeman and the control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belief. In B. M. Staw & G. R. Satanic (Eds.), New directions in organizational behavior (pp. 1-54). Chicago; St. clair.

68.

Schwartz, G. (1978).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The Annals of Statistics, 6, 461-464.

69.

Sclove, L. (1987). Application of model-selection criteria to some problems in multivariate analysis. Psychometrika, 52, 333-343.

70.

Stoolmiller, M., Kim, H. K., & Capaldi, D. M. (2005). The course of depressive symptoms in men from early 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Identifying latent trajectories and early predicto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4, 331-345.

71.

von Eye, A., & Bogat, G. A. (2006). Person-oriented and variable-oriented research: Concepts, results, and development.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52(3), 390-420.

72.

Vondracek, F. W., & Porfeli, E. J. (2002). Integrating Person- and Function-centered approached in career development theory and resear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1, 386-397.

73.

Werner, E. E. (1993). Risk, resilience, and recovery: Perspectives from the Kauai longitudinal study. Development and Psychology, 5, 503-515.

74.

Yap, A., & Tong, E. M. (2009). The appraisal rebound effect: Cognitive appraisals and the rebound.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5(9), 1208-1219.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