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Differences in School Counselors’ Case Conceptualization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by Their Career Length and Supervision Experience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differences in school counselors' case conceptualization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by their career length and supervision experiences. A total of 141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career, supervision experience, case conceptualization ability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one-way ANOVA, and Scheffe follow-up verificat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career group showed statistically higher case conceptualization ability than the middl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mong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career groups. On the other hand, on ‘anxiety management’, a factor of overall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the high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career group showed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middl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career group. Second, the more than the higher supervision experiences group is better case conceptualization ability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than the lower supervision experiences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school counseling and school counselor's education. were discussed.

keywords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supervision, case conceptualizatio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전문상담교사, 수퍼비전, 사례개념화, 역전이 관리

Reference

1.

고윤희, 박성현 (2014).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자기성찰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4), 805-839.

2.

교육부 (2016). 교육통계연보. http://kess.kedi. re.kr.에서 2017.4.15.에 인출.

3.

금명자 (2007).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자 역할에 대한 기대와 예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843-861.

4.

김순영, 배성만, 주은선 (2015). 상담자의 상담경력에 따른 상위인지 자각과 포커싱적 태도가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6(2), 157-178.

5.

김인규 (2009). 전문상담교사제도 발전방안 연구. 상담학연구, 10(1), 517-534.

6.

김인규, 조남정 (2010). DACUM법을 활용한 전문상담교사의 직무분석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97-115.

7.

김지연, 김동일 (2015).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 유형 탐색. 상담학연구, 16(4), 157- 175.

8.

김혜숙, 이기학 (2012). 전문상담교사 경력 단계별 연수 요구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3), 505-528.

9.

남순임 (2016).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퍼비전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서경희, 김지현 (2008). 사례개념화 상담자 자가평가 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657-673.

11.

손은정, 이혜성 (2002). 상담자 발달 수준별 사례 개념화의 차이: 개념도를 통한 인지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829-843.

12.

여혜경 (2001). 전문상담가와 초심상담가의 내담자에 대한 가설형성의 차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오효정, 오은경, 김봉환 (2012). 상담자의 경력과 사례개념화수준 간의 관계: 인지적 지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255-271.

14.

이미정, 박승민 (2015). 상담수련과정에서 상담자의 자기 발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16(1), 1-29.

15.

이상민, 오인수, 서수현 (2007). 한국적 학교상담 모형개발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학교상담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539-367.

16.

이선옥 (2012). 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포커싱적 태도가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윤주 (2001). 상담사례개념화 요소목록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이윤주, 김계현 (2002). 상담자의 사례개념화 수행능력과 상담 경력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2), 257-272.

19.

이지원, 오인수 (2016).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17(4), 351-372.

20.

이지희 (2010). 전문상담교사의 능력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지희, 김희대, 이상민 (2012).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상담학연구, 31(1), 193-214.

22.

이호정 (2010). 사례개념화의 상담자 자가평가와 수퍼바이저 평가와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장세미 (1999). 상담자의 특성, 역전이 관리 능력 및 상태불안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차지은 (2012). 아동상담자의 역전이 관리 능력에 관한 연구: 경력・훈련 경험, 상담자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성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채순옥, 최혜란 (2015). B대학교 상담센터에서의 상담수련 경험에 관한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4(1), 73-89.

26.

최명식 (2003). 역전이 개념의 변천, 분류 및 치료적 활용에 대한 이해. 인간이해, 24, 1-22.

27.

최상근 (1993). 한국 초․중등교사의 교직 사회화 과정 연구. 교육사회학 연구, 3(1), 57-78.

28.

통계청 (2016a). 사망원인통계. http://kostat.go.kr에서 2016.11.7.에 인출.

29.

통계청 (2016b). 전국 청소년 상담 내용 및 대상현황. http://kostat.go.kr에서 2016.11.7.에 인출.

30.

하 정 (2016). 상담전문가의 역전이 관리 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311-337.

31.

한은주, 최한나 (2013). 역전이 활용능력과 상담만족도의 관계: 작업동맹의 매개효과 검증. 인간이해, 34(1), 75-91.

32.

홍영식, 한재희 (2012). 상담 수퍼비전에서 상담자의 자각이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3(3), 1387-1406.

33.

Gelso, C. J., & Carter, J. A. (1994). Components of the Psychtherapy Relationship: Their Interaction and Unfolding During Treatment. Jou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1(3), 296-306.

34.

Hayes, J. A., Gelso, C. J., & Hummel, A. M. (2011). Managing Countertransferen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8(1), 88-97.

35.

Hill, C. E. (2005). Therapist techniques, client involvement, and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nextricably intertwined in the therapy proces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42(4), 431-442.

36.

Kernberg, O. (1965). Notes on countertransference. Journal of American Psychonalysis Assciation, 13, 38-56.

37.

Landany, N., & Bradly, L. J. (2013). 상담 수퍼비전. {Counselor Supervision 4th deition}. (유영권, 안유숙, 이정선, 은인애, 류경숙, 최주희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10년에 출판).

38.

Loganbill, C., Hardy, E., & Delworth, U. (1982). Supervision: A Conceptual model.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0, 3-42.

39.

Sperry, L., & Sperry, J. (2016). 상담실무자를 위한 사례개념화: 이해와 실제. {Case Conceptualization: Mastering this Competency with Ease and Confidence}. (이명우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12년에 출판).

40.

Studer, J. R. (2006). Supervising the school counseling trainee: Guidelines for practice. Alexander, VA: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41.

Van Wagoner, S. L., Gelso, C. J., Hayes, J. A., & Diemer, R. A. (1991). Countertransference and the reputedly excellent therapist. Psychotherapy, 28(3), 411-421.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