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on Aggressio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Abstract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academic stress, self-esteem, and aggression. This study further 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ggression. In particular, the moderating effect was tested three times for the three dimensions of aggression (i.e., behavioral aggression, hostility, & anger). A total of 758 (woman 52.1%) 5th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a questionnaire including measures of academic stress, self-esteem and ag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ademic stress perceived b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ll of the three dimensions of aggression. Second, the students’ self-esteem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three aggression dimensions. Third, self-esteem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oderator between academic stress and two dimensions of aggression (hostility & anger), respectively, yet forth,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not significant between academic stress and the behavioral aggression dimen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cademic stress can be a risk factor to increa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gression, and that their level of self-esteem can be a buffer to lower the risk.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ducators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redu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gression under academic stress by boosting the students’ self-esteem.

keywords
Academic Stress, Aggression, Self-Esteem, Moderating Effect, 학업스트레스, 공격성, 자아존중감, 조절효과

Reference

1.

경찰청 (2016). 경찰범죄통계. http://www.police.go.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529

2.

고재홍, 김미정 (2009).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초등교육연구, 22(4), 161- 183.

3.

교육부 (2017). 2017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lev=0&statusYN=C&s=moe&m=0503&opType=N&boardSeq=72765

4.

권보형 (2013). 초등학생의 과외학습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경준, 김희진, 성윤숙 (2012). 제 1차 청소년 보호 종합대책(2013~2015).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6.

김경화 (2016).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조절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광수, 권영배, 김경집, 김향란, 소희숙, 양희영, 위형석, 이종헌, 장현일, 조형일, 최미현 (2010). 담임교사와 함께하는 학급상담. 경기: 공동체.

8.

김동기, 최윤정 (2012). 청소년의 스트레스 유형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9(6), 249-268.

9.

김선미 (2005).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남녀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 괴롭힘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연정 (2010).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도기봉 (2008).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공격성과 생태체계요인의 상호작용 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0(2), 73-92.

12.

박대규, 이지연 (2010).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학급통제성과 아동의 공격성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3), 55-73.

13.

박미향, 김완일 (2014). 청소년의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10), 475-501.

14.

박성연, 강지흔 (2005). 남ㆍ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1-14.

15.

박열매 (2010).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자아존중감, 부모의 학력과 직업포부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박진희 (2014).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성격 강점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변보기, 강석기 (2002).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적대감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9(3), 269-291.

18.

보건복지부 (2013). 2013 한국 아동종합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

서수균, 권석만 (2002). 자존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809-822.

20.

신현숙 (2013). 남녀 청소년의 공격성 군집에 따른 우울, 자극추구성향, 정서조절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20(2), 191-216.

21.

신현숙, 김선미 (2014). 남녀 중학생의 공격성 군집에 따른 괴롭힘 관련 태도와 도덕적 이탈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21(3), 307- 331.

22.

신현숙, 이은정, 유리향, 배민영 (2010). 초등학생의 유능성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7(4), 103-105.

23.

심응철 (1999). 청소년의 충동성 및 공격성과 폭력행동의 상관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2(2), 24-34.

24.

양계민, 정현희 (1999). 학교폭력이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5(2), 91-104.

25.

오미숙 (2011). 학업 스트레스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오인수 (2009). 스트레스와 학교 괴롭힘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초등교육연구, 22(2), 49-70.

27.

위유라, 노충래 (2014).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6(2), 203-227.

28.

위효진 (2014).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 간 갈등과 부모-자녀 간 갈등이 외현적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윤정아 (2010).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이동용 (2014). 학업스트레스와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이성희, 이선애 (2007).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아통제력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12, 1-22.

32.

이세연 (2007). 청소년의 자기애 및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이은아 (2011).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이은옥 (2005).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그 수준에 관련된 요인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은주 (2007). 초등학교 학교폭력에 대한 학부모와 학생의 인식. 아동권리연구, 11(2), 291-317.

36.

이주연 (2013). 초등학생의 성격유형, 자아존중감 및 교우관계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정미, 이지연, 장진이 (2012). 초등학생의 일상적인 스트레스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9(5), 93-113.

38.

이정희 (2002). 공격성 유형과 갈등 상황 및 관계 유형이 아동의 또래 평가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주리 (2010). 아동의 스트레스와 공격성 간 종단관계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4(1), 41-58.

40.

이지영 (2011).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부모의 학습관여행동, 공격성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춘재, 곽금주 (2000). 집단 따돌림 경험유형에 따른 자기개념과 사회적지지.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1), 65-80.

42.

이혜정, 위슬아, 김범준 (2015). 공격성과 비행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 (4), 675-695.

43.

이훈진, 원호택 (1995). 편집증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1), 83-94.

44.

정명숙, 이경옥 (2015). 영적 안녕과 자아존중감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4), 55-70.

45.

정옥분 (2002).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46.

정현정, 김경성 (2009). 학교관련 심리변인이 초등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2(4), 351-378.

47.

조붕환 (2006). 초등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아동교육, 15(3), 5-21.

48.

조유진 (2006). 집단괴롭힘 목격과 피해경험의 가해화 경로에 대한 중재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9.

조윤정 (2000). 남자청소년의 문제행동과 개인 및 가족관련 변인.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조혜미 (2005). 비행여자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주지선 (2017). 청소년의 학교폭력 주변인 행동유형에 대한 생태체계적인 요인의 영향.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2.

채진영 (2012). 아동의 학업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9(1), 71-87.

53.

홍세희 (2001).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54.

홍세희, 정송 (2014).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이론과 절차. 인간발달연구, 21(4), 1-24.

55.

Berkowitz, L. (1993). Aggression: Its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NY: McGraw Hill.

56.

Buss, A. H., & Perry, M. (1992).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452-459.

57.

Farrington, D. P. (1989). Early predictors of adolescent aggression and adult violence. Violence and Victims, 4(2), 97-100.

58.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d in structure modeling: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59.

Jachman, M. G., Leite, W. L., & Cochrane, D. J. (2011). Estimating latent variable interactions with the unconstrained approach: A comparison of methods to form product indicators for large, unequal numbers of item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8(2), 274-288.

60.

Jang, S. J., & Thornherry, T. P. (1988). Self-esteem, delinquent peers and delinquency: A test of the self-enhancement the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586-598.

61.

Marsh, H. W., Wen, Z., & Hau, K. T. (2004). Structural equation models of latent interactions: Evaluation of alternative estimation strategies of alternative estimation strategies and indicator construction. Psychological Methods, 9(3), 275-300.

62.

Ping, R. A. (1996). Latent variable interaction and quadratic effect estimation: A two step technique us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9, 166-175.

63.

Rigby, K., & Slee, P. T. (1993). Bullying among Australian school children: Reported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 victim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1(5), 615-627.

6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65.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Newbury Park, CA: Sag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