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atteri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attering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survey using interpersonal competence, mattering and smartphone addiction scale was conducted among 430 college students in Pohang area in South Korea. The mediating effect and structural model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mattering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mattering was proven to completely mediate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his study had an implication in that it reveal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martphone addiction with using Shaffer’s Addiction Syndrome model and it confirm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ttering and addiction. Based on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Interpersonal competence, Mattering, Smartphone addiction, 대인관계 유능성, 대인존재감, 스마트폰 중독

Reference

1.

강현임, 이영란, 황주희 (2017).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독범죄학회보, 7(2), 1-23.

2.

구승희, 이영순 (2011). 대학생의 정서표현 양가성, 대학생활 적응 및 대인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3(2), 17-37.

3.

김동일, 정여주, 이윤희, 김병관, 전호정 (2016).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7(3), 319-335.

4.

김병년, 고은정, 최홍일 (2013).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4(3), 67-98.

5.

김성회, 박경희 (2010). 대학상담: 대학생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1(1), 375-393.

6.

김옥란, 김완일 (2015). 군 병사의 자기복잡성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1), 159-181.

7.

김은정 (2014). 20대 청년층의 새로운 생애발달단계로서 ‘성인모색기’(emerging adulthood)에 관한 탐색 연구. 담론201, 17(3), 83-129.

8.

김진희 (2017). 대학생의 성인애착 유형과 이성관계: 관계중독, 친밀감 두려움, 대인관계 유능성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5(4) 911-929.

9.

김현진, 한종철 (2004). 대학생의 우울 취약성과 자의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2), 277-294.

10.

김희은 (2014). 국내 대학생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및 연구동향. 상담학연구, 15(4), 1441-1456.

11.

김희진, 주은지 (2018).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감사성향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9(3), 799-814.

12.

남순현, 양은주, 권정혜 (2013). 사회침투이론에 근거한 온라인 대인관계의 발달단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20(2), 125-151.

13.

문의용, 김택호 (2014). 스마트폰 중독자와 인터넷 중독자의 스트레스대처 방식과 대인관계 성향의 차이.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학술대회, 75-87.

14.

박명준, 신성만 (2014).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이 인터넷 게임, 사이버섹스, 스마트폰 사용을 통한 중독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5(2), 753-771.

15.

박성복, 황하성 (2014).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구. 한국언론학보, 58(4), 289-311.

16.

박순주, 권민아, 백민주, 한나라 (2014).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5), 289-297.

17.

박용민 (2010). 성인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배성만 (2015). 한국 성인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16(3), 51-65.

19.

서강상담연구 제10권 (2017).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

성미현, 남혜리 (2017).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유형, 대인관계 능력,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2), 61-70.

21.

손미라 (2018). 간호대학생의 자기인식, 타인인식, 대인관계 유능성이 스마트폰 및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 27(1), 74-84.

22.

손병덕, 성문주, 백은령, 이은미, 최은화, 정정호, 송현아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2판. 서울: 학지사

23.

송가미, 박희현 (2016). 직장인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3, 113-131.

24.

송기인 (2013).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자의 가치구조 비교. 광고 PR 실학연구, 6(3), 7-34.

25.

신연섭, 이봉건 (2016). 대학생의 휴대폰 중독과 감각추구성향, 충동성, 공격성의 관계 분석. 청소년문화포럼, 45, 61-84

26.

신성만, 김주은, 오종현, 구충성 (2011). 청소년의 실존적 영적안녕감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5), 1613-1628.

27.

안주아 (2016).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이용행태와 중독. 언론과학연구, 16(4), 128-162.

28.

안선경, 정여주 (2016).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3), 719-741.

29.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30.

유태정, 김석선 (2015).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4(2), 127- 135.

31.

유형근, 박선하 (2018).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9(2), 195-209.

32.

윤하은 (2018).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윤해진 (2009). 휴대전화 이용에 따른 대학생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 한국방송학보, 23(5), 173-216.

34.

이경미, 조한익, 정기수 (2015). 청소년의 집단따돌림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11), 461-486.

35.

이기학, 조영아 (2006). 2005학년도 재학생 실태조사. 연세상담연구, 22. 연세대학교 상담센터.

36.

이연규, 최한나 (2013).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4(2), 21-42.

37.

이종환, 임종민, 손한백, 곽호완, 장문선 (2016). 행동중독 준거기반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425-443.

38.

이지혜 (2012). 동기강화 인터넷 중독 예방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자기통제력, 우울/불안,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9.

이학식, 임지훈 (2008).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7.0. 서울: 법문사

40.

이현호, 홍지영 (2018). 학교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와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9(2), 173-194.

41.

임윤선 (2013). 성인애착이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존재감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장선희 (2015).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우울, 자아존중감, 충동성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장여옥 (2017).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인관계능력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4(7), 235-255.

44.

장혜진, 전영자 (2016). 대학생이 지각하는 내·외향성과 대인관계만족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5(2), 137-152.

45.

정민선, 김현미, 권현용 (2012). 청소년의 기본욕구충족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대처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상담연구, 20(1), 159-174.

46.

정숙희, 김재영, 류수정, 신성만 (2015). 기독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조절 효과.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6(4), 243-273.

47.

정윤미, 김완일 (2016).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10), 385-410.

48.

차미희 (2013).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Mattering, 자존감의 매개효과 비교: 사회적 단절 모델을 바탕으로. 아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최상진, 김기범 (1999). 한국인의 Self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2), 275- 292.

50.

최한나, 임윤선 (2013). 한국판 대인존재감 척도의 타당화. 상담학연구, 14(3), 1699- 1715.

51.

최 현 (2018). 대학생의 스마트폰과 SNS 과다사용 개선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목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2.

최현석, 이현경, 하정철 (2012).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5), 1005-1015.

53.

한가희, 이인혜 (2016). 대학생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문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4), 683-697.

54.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2017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요약보고서

55.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2011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5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보고서.

57.

한나리, 이동귀 (2010). 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137-156.

58.

한자연 (2017).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 수용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9.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60.

Arnett, J. J. (2000). Emerging adulthood: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American psychologist, 55(5), 469-480.

61.

Arnett, J. J. (2007). Suffering, selfish, slackers? Myths and reality about emerging adul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6(1), 23-29.

62.

Bell, N. J., McGhee, P. E., & Duffey, N. S. (1986). Interpersonal competence, social assertiveness and the development of humour.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4(1), 51-55.

63.

Bian, M., & Leung, L. (2015). Linking loneliness, shyness, smartphone addiction symptoms, and patterns of smartphone use to social capital.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33(1), 61-79.

64.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65.

Buhrmester, D., Furman, W., Wittenberg, M. T., & Reis, H. T. (1988).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6), 991.

66.

Chen, J. S. (Ed.). (2012). Advances in hospitality and leisure (Vol. 8). Emerald Group Publishing.

67.

Chow, C. M., Ruhl, H., & Buhrmester, D. (2013).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adolescents' empathy and friendship quality: A dyadic approach. Journal of adolescence, 36(1), 191-200.

68.

DeCarlo, L. T. (1997). On the meaning and use of kurtosis. Psychological Methods, 2(3), 292-307.

69.

Demirci, K., Akgönül, M., & Akpinar, A. (2015). Relationship of smartphone use severity with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4(2), 85-92.

70.

Elliott, G. C. (2009). Family matters: The importance of mattering to family in adolescence. John Wiley & Sons.

71.

Elliott, G. C., Cunningham, S. M., Colangelo, M., & Gelles, R. J. (2011). Perceived mattering to the family and physical violence within the family by adolescents. Journal of Family Issues, 32(8), 1007-1029.

72.

Elliott, G. C., Kao, S,., & Grant, A. M. (2004). Mattering: Empirical Validation of a Social-Psychological Concept. Self and Identity, 3, 339-354.

73.

Erikson, E. H. (1963). Youth: Change and challenge. Basic books.

74.

Griffiths, M. (2005). A ‘‘components’’ model of addiction within a biopsychosocial framework. Journal of Substance Use, 10, 191-197.

75.

Holmbeck, G. N. (1997). Toward terminological, conceptual, and statistical clarity in the study of mediators and moderators: Examples from the child-clinical and pediatric psychology literatur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5(4), 599-610.

76.

Koesten, J., & Anderson, K. (2004). Exploring the influence of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cognitive complex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adolescent risk behaviors. The Journal of Family Communication, 4(2), 99-121.

77.

Nelson, D. R., Hammen, C., Daley, S. E., Burge, D., & Davila, J. (2001). Sociotropic and autonomous personality styles: Contributions to chronic life stres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5(1), 61-76.

78.

Niemz, K., Griffiths, M., & Banyard, P. (2005). Prevalence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correlations with self-esteem,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GHQ), and disinhibition. Cyberpsychology & behavior, 8(6), 562-570.

79.

Rayle, A. D. (2005). Adolescent gender differences in mattering and wellness. Journal of adolescence, 28(6), 753-763.

80.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81.

Rosenberg, M., & McCullough, B. C. (1981). Mattering: Inferred significance and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Research in community & mental health.

82.

Samaha, M., & Hawi, N. S. (2016).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stress,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lif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7, 321-325.

83.

Shaffer, H. J., LaPlante, D. A., LaBrie, R. A., Kidman, R. C., Donato, A. N., & Stanton, M. V. (2004). Toward a syndrome model of addiction: Multiple expressions, common etiology. Harvard review of psychiatry, 12(6), 367-374.

84.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85.

Spitzberg, B. H., & Cupach, W. R. (1989).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petence research. New York: Springer-Verlag.

86.

Swann, W. B. (1983). Self-Verification: Bridging Social Reality into Harmony with the Self. In J. Suls & A. G. Greenwald(Eds.),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the Self (pp.33-66). Hillsdale, NJ: Erlbaum.

87.

Taylor, J., & Turner, R. J. (2001).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mattering to others for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10-325.

88.

Thomas, S. P. (2011). What is mattering and how does it relate to mental health?.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32(8), 485-485.

89.

Young, K. S., & Rogers, R. C.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Cyberpsychology & behavior, 1(1), 25-28.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