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Development of Community Resources Linkage Capability Scale of Counselors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nd investig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cale that can measure linkage capability of community resources of counselors. This study prepared a preliminary question consisting of a total of 42 questions in 5 areas. Then, the content validity and facial validity were verified by the counseling experts with a first-degree qualification as a counselor in Korean Counsel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and a total of 20 final questions of 4 areas. The final questions were conducted on psychological counselors(N=306) to investigate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validity of the two-factor structure have been verified. And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wo factors were shown to be appropriate. The two-factors were named ‘The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Association with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Also, the scale of final selection of questions were found to have a good degree of concurrent validity, interitem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measure of community resources linkage capability scale of counselors. In addition, this scale is expected to be useful in Wee Class, Wee Center, Youth Counseling Welfare Center, and other counseling sites.

keywords
counselors, linkage of community resources, reliability, validity, Scale development
Submission Date
2020-09-16
Revised Date
2020-11-02
Accepted Date
2020-11-18

Reference

1.

강유리 (2012). 심리상담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대처행동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

구장회, 안도희 (2015).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가정의 심리적 환경, 기본심리욕구및 학교 참여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2(11), 21-44.

3.

권해수, 류진아 (2007). 학교 기반의 위기청소년 통합지원모형 개발. 상담학연구, 8(3), 1205-1221.

4.

김동일, 윤현선, 서창원, 최수미(2008). 위기청소년 통합지원체제(CYS-Net) 운영평가 연구. 상담학연구, 9(4), 1769-1783.

5.

김성옥 (2008). 학교사회복지실천에서의 지역사회자원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상주대학교 대학원.

6.

김언순, 민혜리, 이 영 (2018). ‘학교-지역사회연계교육’활성화를 위한 지역교육자원 활용방안: 서울시 동북지역 2개 자치구를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2), 83-107.

7.

김지연 (2001).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중심으로한 학교사회복지 모형개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8.

김태섭 (2016). 지역사회 자원교류를 통한 청소년비행예방센터의 조직효과성 증진에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9.

김혜미, 오인수 (2016). 숙련상담자의 좌절경험및 극복과정의 구조 분석. 상담학연구, 17(5), 159-180.

10.

김희은, 고혜정, 김동일, 최수미 (2019). 장애학생 상담지원에 대한 연구동향과 지원방안. 아시아교육연구, 20(3), 831-852.

11.

류기형 (2006). 의료사회복지실천에서의 지역사회자원 연계방안.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12.

류진아, 권해수 (2008). 학교 내 위기청소년에대한 지역사회연계 학교상담모형 효과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0(1), 131-153.

13.

박미진, 현안나 (2017). 지역사회복지관 조직풍토와 사회복지사의 자원연계기술과의 관계: 성찰적 사고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 48(2), 203-231.

14.

박성현, 화순영, 장우영 (2013). 전문상담교사의 장애 상담 지원 실태 및 인식. 정서․행동장애연구, 29(4), 341-360.

15.

박영순, 김윤희, 조민석 (2019). 소년범에 대한다중체계치료(Multisystemic Therapy)사례연구. 인지행동치료, 19(2), 179-204.

16.

박지혜, 하정희 (2020). 학교부적응 청소년이지각하는 학교의 생태학적 환경에 대한질적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28(1), 315-338.

17.

배경희 (2006) 의료사회복지실천에서의 지역사회자원 연계방안.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18.

배현순 (2019). 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이정서경험, 지역공동체의식을 매개로 자원연계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19.

손병덕 (2015). 주제발표 3: CYS-Net 위기청소년통합지원 체계의 과제. 한국청소년학회 학술대회, 2015(2), 55-72

20.

어윤강 (2014). 의료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관계가 자원연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1.

옥정달, 우주영, 윤병천, 박민 (2018). 상담, 자문, 기관지원이 장애학생에 대한 상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1(1), 1-18.

22.

윤하연 (2016). 지역아동센터의 자원연계 활성화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대학원.

23.

이강 (2004). 지역사회 정신보건조직의 연계실태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4.

이병환, 강대구 (2014). 중고등학교 학생들의학교부적응 행동 요인 분석. 교육문화연구, 20(3), 125-148.

25.

이용주, 박근영 (2018). 교정시설 내 수용자 심리상담 지원 강화 방안 모색. 교정상담학연구, 3(2), 83-97.

26.

이은하, 한희영, 서인국, 유미숙 (2017). 초등학교 파견 놀이치료자의 경험에 대한 연구초등학교-대학교 지역사회 전문자원 연계상담. 한국놀이치료학회, 20(1), 81-103.

27.

이종운 (2016).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8.

이현숙 (2005). 노인종합복지관의 프로그램 운영과 지역연계활동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소재 노인종합복지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9.

임은미 (2014). 학교상담에서의 연계과정에 대한 상담자의 경험. 아시아교육연구, 15(1), 217-246.

30.

장성태 (2003). 장애인복지관 재가복지서비스에서의 지역사회자원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31.

장암미, 안도희 (2015). 부모 및 교사의 심리적환경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7(2), 951-967.

32.

정성기 (2002). 지역사회 보건복지 서비스연계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33.

정현주 (2015). 학교폭력 관련기관들의 학교폭력 문제해결을 위한 연계경험 연구 -CYS-Net․학교․Wee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학교사회복지, 32, 247-279.

34.

조현경, 김재철 (2014). 중학생이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환경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영향. 교육연구, 22, 81-102.

35.

최은숙, 전경숙 (2016). 한국 근로자의 심리․사회적 근로환경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5(4), 300-310.

36.

홍남희 (2013). 위기 청소년과 지역사회 자원:지역사회통합지원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24, 54-63.

37.

Cox, A. A., & Lee, C. C. (2007). Challenging educational inequities: school counselors as agent of social justice, ACA.

38.

DeBord, K., Jakes, S., & Guin, A. (2010). When the Quick Fix Doesn't Work: Evaluating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on Child Abuse. Journal of extension, 48(5). Retrieved from http://www.joe.org/joe/2010october/a7.php

39.

Malcolm, M., Shellman, J., Elwell, J., & Rees, C. (2017). GOT! Care: preparing the emerging healthcare workforce for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Practice: a pilot study. Health Interprofessional Pract, 3(2), 2159-1253.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