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부모의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초등교사의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으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자기은폐’와 ‘사후반추사고’가 순차적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초등교사 400명(남교사 82명, 여교사 31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주요 변인들 간 상관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이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은폐, 사후반추사고,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은폐가 부분매개 하였다. 셋째,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은폐와 사후반추사고의 순차적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학부모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행동적 기제인 자기은폐와 인지적 기제인 사후반추사고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초등교사의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으로 이행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교사가 학부모로부터 받는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을 경험할 때 자기은폐와 사후반추사고에 초점을 두고 개입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concealment and post-event rumination had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fear of students’ parents’ negative attitudes and their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and 400 responses were recei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determ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search model’s goodness of fit was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re were four main result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elf-concealment, post-event rumination,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Second, self-conceal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ird, post-event rumination also had a mediating effect on this relationship. Fourth, self-concealment and post-event rumination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this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is study’s results show the need for an intervention that address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concealment and post-event rumination when they experience anxiety about students’ parents’ negative eval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