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심리학회지:학교

메뉴

대인관계문제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소명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 and Learning Flow

초록

본 연구는 대인관계문제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소명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1, 2학년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와 SPSS Macro 3.5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문제, 소명, 학습몰입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인관계문제와 소명, 대인관계문제와 학습몰입은 서로 부적 상관을 가졌고, 소명과 학습몰입은 서로 정적상관을 가졌다. 둘째, 대인관계문제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소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소명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인관계는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지만, 소명을 통해 학습몰입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인관계문제, 소명, 학습몰입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interpersonal problems learning flow calling 대인관계문제 학습몰입 소명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cal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 and learning flow. Data was collected by surveying 312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using SPSS 25.0 and SPSS Macro 3.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result was that interpersonal problems, calling, and learning flow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lling and learning flow while calling and learning flow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second result was that cal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 and learning flow. Learning flow was directly affect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as indirectly affected by them through calling. This paper present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keywords
interpersonal problems learning flow calling
투고일Submission Date
2022-02-12
수정일Revised Date
2022-05-15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2-07-14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