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의 초등교사의 교사소진 잠재집단을 분류하여, 잠재집단의 전이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잠재집단의 분류와 잠재집단의 전이에 대한 직무요구(업무량, 시간압박, 역할모호성 그리고 역할갈등)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 250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 LTA)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첫째,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교사소진은 각각 낮은 도전형(under challenged), 평균소진형(moderate burn-out), 정서적 고갈형(emotional exhausted) 3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코로나19 이전 교사소진 잠재집단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직무요구는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이고, 코로나19 이후에는 업무량, 역할갈등, 역할모호성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코로나19 이전 낮은 도전형(under challenged) 집단의 경우 코로나19 이후에 여전히 같은 집단에 머물거나 평균소진형(moderate burn-out) 집단으로 이동하였다. 평균소진형(moderate burn-out) 집단은 코로나19 이후 동일한 집단에 머물거나 정서적 고갈형(emotional exhausted) 집단으로 이동하였다. 정서적 고갈형(emotional exhausted) 집단은 코로나19 이후 같은 잠재집단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19 전후의 교사소진의 잠재집단간 전이를 예측하는 직무요구의 공통 하위요인은 업무량과 역할모호성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latent groups in burnout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amine the transition patterns of latent group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determine how job demands, namely workload, time pressure,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affected the classification and transition of latent groups. Latent profile analysi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data from 2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There were four major results. The first result was that teacher burnout was classified as either the under-challenged type, the moderate burn-out type, or the emotional exhausted type. The second result was that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ffected latent group classification before COVID-19 while workload,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ffected it after COVID-19. The third result was that those in the under-challenged type group before COVID-19 stayed in the same group or moved to the moderate burn-out type group after COVID-19. Those in the moderate burn-out type group before COVID-19 stayed in the same group or moved to the emotional exhausted group after COVID-19. Those in the emotional exhausted group remained in the same latent group after COVID-19. The fourth result was that workload and role ambiguity predicted the transition between latent groups before and after COVID-19.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