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Coping as a Mediator between Career-related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in College Students

Abstract

Although career-related stress has been highly ranked among various stressful events that college students experience,limited numbers of empirical research investigated career-related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between career-related stress and career decision making. Three hundred and seventy thre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from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ndicated that problem-focused coping and avoidance-focused coping partially mediated the link of career-related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However, career-related stress was found to be a strong predictor of career decision-making despi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Discussion focused on intervention strategies in career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considering the levels of career-related, stress and main coping strategies that college students employ.

keywords
Career-related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Problem-focused Coping, Avoidance-focused Coping, Mediating Effects,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수준, 문제중심대처, 회피중심대처, 매개효과

Reference

1.

강길태, 이민규 (2005). 포스터발표: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우울, 불안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

고향자 (1993).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공수자, 이은희 (2006). 여자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1), 21-40.

4.

김동조 (2003). 신학대생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학교생활, 진로와 취업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봉환, 김계현 (1995). 진로미결정에 관한 연구동향과 향후의 연구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7(1), 20-43.

6.

김봉환, 김계현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1), 311-333.

7.

김봉환, 김병석, 정철영 (2000). 학교진로상담. 서울: 학지사.

8.

김영미 (1991). 대학생의 스트레스 현황과 성격 특성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희수 (2005).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결정과의 관계. 중등교육연구, 53(3). 63-88.

10.

류진혜, 정은선 (2002). 2002학년도 서울캠퍼스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생활연구, 20, 77-120.

11.

문승태 (2000).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과 심리적 변인간의 인과관계.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박경 (2006). 여대생의 성 피해 경험과 자살사고와의 관계: 귀인양식과 대처방식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3), 327-344.

13.

박수길 (2001).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과 개인변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박정희, 이은희 (2008).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불안, 우울 및 강박증과 진로미결정: 자기 통제력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103-123.

15.

변은주 (1999). 의사결정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진로미결정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백지숙 (2006). 진로결정상태 유형에 따른 진로미결정 이유, 진로성숙도와 대학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1-10.

17.

서유진 (2007). 진로장애와 낙관성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성명옥 (2001). 선문대생의 생활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선문대학교 학생생활연구, 5, 53-68.

19.

손향숙, 김현정 (2006). 2006학년도 용인대학교 재학생 대학생활 실태 조사연구. 학생생활 연구, 14, 115-135.

20.

송소원 (2001). 자아존중감과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따른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 상명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학생생활연구, 14, 1-23.

21.

신현숙 (2005). 청소년의 낙관성 및 비관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서 대처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2(3), 165-192.

22.

신혜진, 김창대 (2002). 스트레스 대처 전략 검사(Coping Strategy Indicator)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19-935.

23.

유나현, 이기학 (2005). 애착, 심리적 독립, 정서지능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51-466.

24.

이옥주 (2003).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 양식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7(3), 77-85.

25.

이은희 (2004).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 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25-48.

26.

이재창 (1986). 진로상담에 관한 연구 - 체계적 상담모형과 의사결정 모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교육연구논총, 13, 111-145.

27.

이제경 (1997).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발달의 대학전공분야별 비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정은이 (2007).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및 생활 스트레스가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19(2), 143-162.

29.

주현숙 (2006).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 양식의 매개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최해림 (1986). 한국 대학생의 스트레스 현황. 인간이해, 8, 1-14.

31.

탁진국 , 한덕웅 (1993). 스트레스와 대처: 생활사건 , 자기 효능성 및 대처 양식에 따른 부적응 효과의 인과적 모형 검증. 성균관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학생생활연구, 10(1), 36-56.

32.

황성원 (1998).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Amirkhan, J. H. (1990). A factor analytically derived measure of coping: The Coping Strategy Indicat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1066-1075.

34.

Ayers, T. S., Sandier, I. N., West, S. G., & Roosa, M. W. (1996). A dispositional and situational assessment of children's coping: Testing alternative theoretical models. Journal of Personality, 64, 923-958.

35.

Argyropoulou, E. P., Sidiropoulou-Dimakakou, D., & Besevegis, E. G. (2007). Generalized self-efficacy, coping, career indecision, and vocational choices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Greece: Implications for career guidance practitioner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3, 316-337.

36.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37.

Bennion, L. D., & Adams, G. R. (1986). A revision of the extended version of the objective measure of ego-identity status: An identity instrument for use with late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 183–198.

38.

Causey, D. L., & Dubow, E. F. (1992). Development of a self-report coping measur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 , 47-59.

39.

Chang, E. & Strunk, D. R. (1999). Dysphoria: Relations to appraisals, coping, and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 99-108.

40.

Brissette, I., Scheier, M. F., & Carver, C. S. (2002). The role of optimism in social network development,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during a life trans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494-508.

41.

Gati, I., Krausz, M., & Osipow, S. H. (1996). A taxonomy of difficulties in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 510-526.

42.

Larson, L. M., & Heppner, P. P. (1985). The relationship of problem-solving appraisal to career decision and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6, 55-65.

43.

Lazarus, R. S., & Cohen, J. B. (1977). Environmental stress. In I. Altman & J. F. Wohlwill (Eds.), Human behavior and environment: Current theory and research (pp.89-127). New York: Plenum.

44.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45.

Lazarus, R. S., & Folkman, S. (1986). Cognitive theories of stress and the issue of circularity. In M. Appley & R. Trumbull (Eds.), Dynamics of stress(pp.63-81). New York: Plenum.

46.

Lee, K. H. (2005). Coping with career indecision: Differences between four career choice type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1, 279-289.

47.

Long, B. C., Kahn, S. E., & Schutz, R. W. (1992). Causal model of stress and coping: Women in manage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 227-239.

48.

Osipow, S. H., Carney, C. G., Winer, J., Yanico, B., & Koschier, M. (1987). Career Decision Scale.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49.

Scheier, M. F., & Carver, C. S. (1985). Optimism, coping, and health: Assessment and implications of generalized outcome expectancies. Health Psychology, 4, 219-247.

50.

Steele, R. G., Forehand, R., & Armistead, L. (1997). The role of family processes and cop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hronic illness and childhood internalizing problem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5, 83-94.

51.

Tolbert, E. L. (1974).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Boston, MA: Houghton Mifflin.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