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Content Analysis about Life-Cultu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tilizing Storytelling Game: Talking, Feeling, Doing Game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ife-cultu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define and understan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fe- culture and collect resources availab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nseling, guidance. The targets of this research were 57 second-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two class, who were divided into the nineteen group consisting of three children and played the talking, feeling, doing game with researcher. and the data was qualitatively analysed. As a result, The most frequent life-culture for lower grad of elementary school were related to friend. and it showed family system, personal system, culture system.

keywords
이야기게임, 말하고, 느끼고, 행동하기 게임, 초등학생, 생활 문화, Storytelling game, Talking, Feeling, Doing game, elementary school, life-culture

Reference

1.

김광웅, 유미숙, 유재령 (2004). 놀이치료학. 서울: 학지사

2.

김민정 (2006), 맞벌이 가정의 아동복지감과 맞벌이 어머니의 부모역할 만족도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7(2), 15~23.

3.

김수희, 박부진, 권오주 (2010). 기초연구 : 장애형제자매 유무에 따른 아동의 어머니 기대. 외로움, 스트레스의 지각.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놀이치료연구. 14(2), 29-44.

4.

김옥순, 오윤자, 최명구 (2006). 초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아동교육학회지. 15(1), 195~207.

5.

김은경 (2005). 아동의 외모만족도,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부적응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춘천교육대학교.

6.

문성원, 한종철 (1996).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7(2), 223-246.

7.

민영순 (1995). 가정환경 및 학급사회의 심리적 환경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8.

이미숙, 권회연, 이미애 (2010). 장애아동 형제의 의식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 형제의 경험을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지 12(2), 127~148.

9.

이해성, 김혜원 (2001). 초등학생의 집단괴롭힘 가해행동동과 피해행동에 대한 사회적, 심리적 예측변인들: 학년과 성별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1), 117-138.

10.

이종재 (2004). 한국 초등학생의 생활 및 문화 실태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1.

정연옥 (2010).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부모양육행동과 부적응 도식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2). 315-333

12.

정은순, 김이순, 이화자, 김정혜, 송미경 (2002). 초등학생들의 집단따돌림에 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8(4). 422-4734.

13.

차배근 (1991). 사회과학연구방법, 서울: 세영사.

14.

탁정미, 이주희 (2005).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7(1), 141-155.

15.

홍영란 (2000).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요인, 대처 방식,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및 학교적응. 아동간호학회지, 6(3). 362-371.

16.

홍상황, 유현실 (2007). 초등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심리적 문제: KPRC-TRF를 사용하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4(2), 173-191.

17.

황호영 (2007). 초등학생의 학습 및 생활실태 분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Brooks, R. (1987). Storytelling and the therapeutic process for children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0, 546-550.

19.

Bellinson. J. (2008). 유미숙, 이영애, 진미경 역, 보드게임을 활용한 아동 심리치료. 시그마프레스.

20.

Edwards, C. P., 하영희 (2005). 부모와 형제에 대한 초기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애착, 사회경제적 지위 및 조망수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2), 43~57.

21.

Corn, E. A. (2000). The Feeling word game: A tool for both teaching and therapy. Family Journal, 8(4).

22.

Epstom. D., & White. M. (1989). Literate means to therapeutic ends. Adelaide. Austrlia: Dulwich Centre Publications.

23.

Gardner, R. A. (1973). The Talking, Feeling, and Doing Game. Creskill, NJ: Creative Therapeutics.

24.

Gardner, R. A. (2011). 유미숙 역, 말하고, 느끼고, 행동하기 게임. 마인드프레스

25.

Gardner, R. A. & Shapiro, L. E. (2004). The psychotherapeutic use of The talking, feeling, & doing game and other projective techniques. Childswork/Childsplay and Creative Therapeutics, Inc.

26.

Howe, N., Assee, J., & Bukowski, W. M. (2001). Predicting sibling relations over time: Synchrony between maternal management styles and sibling relationship quality. Merrill-Palmer Quarterly, 47(1), 121-141.

27.

Kohlberg, L. (1971). Stages of Moral Development as Basis for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New York : Newman Press.

28.

Martin, J. L., & Ross, Hildy S. (1996). The development of aggression within sibling conflict.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6(4), 335-358.

29.

O'Connor, K. J., & Schaefer, C. E. (1994). Handbook of play therapy. (Vol. 2.) New York: Wiley.

30.

O'Connor, K. J. (2001). The play therapy primer (2nd). New York: Wiley.

31.

Schaefer, C. E & Reid, S. R (2001). 박성옥, 이정숙, 김윤희, 백지은 역. 게임놀이와 아동심리치료, 창지사.

32.

Rochelle Caplan, Trach Sherman, Keren Gitliin-Weniner, Alice Sandgrund, Charles Schaefer. (2000). Kiddie Formal Thought Disorder Rating Scale and Story Game. Play Diagnosis and Assessment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33.

White, M. (1986). Negative explanation, restraint and double description. family process. 5(1), 61-73.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