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Motivation Regulation Program for Amotivated Middle School Students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conduct a motivation regul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motivation beliefs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reducing academic amotivation beliefs and enhancing both motivation 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For these purposes, the objectives of the motivation regulation program were driven from the analysis of both academic amotivation beliefs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on motivation regulation, and based on the objective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constructed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a survey asking the need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The preliminary program of 12 sessions was organized after revising the contents by utilizing the results of consultations from experienced professionals in school counseling.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by improving the preliminary program after the preliminary program was conducted with a freshman class of a middle school in 2010. The final program of 12 sessions was conducted to 11 freshmen students who had high academic amotivation beliefs in a middle school in 2011.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using ANCOVA showed that academic amotivation beliefs in the experiment group was reduced significantly and motivation regulation w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ffects was still remained in the delay-test administered in two months after the program. It was shown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also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The analyses of the participants' program session evaluation reports and the interview contents of the program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supported these positive effects of the program.

keywords
academic amotivation beliefs, motivation regulation, motivation regulation program, 학습무동기신념, 동기조절, 동기조절 프로그램

Reference

1.

강삼석 (2007). 학습된 무기력 치료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순화 (1994). 집단상담에서의 집단응집력과 상담회기 평가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학생생활연구, 30, 111-154.

3.

권영배, 이종연 (2010). 학업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학 연구. 10 (1), 17-40.

4.

김교헌 (1992). 적극적 훈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 대학생의 성취동기 육성. 충남대학교학생생활연구, 19, 167-195.

5.

김남옥 (1991). 학습부진아에 대한 진단적-처방적 학습기술 훈련의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동원 (2008). 중학생을 위한 학업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학업스트레스와 학업동기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명숙 (2007).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아영 (2002).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 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교육심리연구, 16(4), 169-187.

9.

김아영, 오순애 (2001).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른 동기유형의 분류. 교육심리연구, 15(4), 97-119.

10.

김은영 (2006). 대학생 동기조절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은영 (2008). 여자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동기조절 전략 연구. 교육심리연구, 22 (1), 111-127.

12.

김은영 (2007). 초․중․고등학생의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진희. (2008).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창대, 김형수, 신을진, 이상희, 최한나 (2011).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학지사.

15.

김창현 (2004). 학습동기향상 훈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학습동기 및 학업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혜선 (2006). 학습동기훈련 프로그램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나낙기 (2006).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경연 (2002). 학습된 무기력 극복을 위한 프로그램이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귀자 (2006).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병기, 정기수, 김선미, 이종욱 (2005). 자기조절학습의 복합적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동기조절 척도의 통합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9(2), 455-476.

21.

박선환 (1987) 성취동기 교육훈련이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 태도, 학습습관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승호 (1995). 초인지, 초동기, 의지통제와 자기조절학습과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9(2), 57-90.

23.

박인우 (1995). 효율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 모형. 계명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0, 19-40.

24.

박종수 (2001). 학습동기유발 훈련이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박지은 (2009). 국가수준 교과학습 진단평가의 수학영역에 관한 문항반응 분석.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배정희 (2008). 인간관계, 학습사 및 동기적 변인들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변창진 (1994). 프로그램개발. 대구: 홍익출판사.

28.

양명희 (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염재필 (1999). 성취동기 학습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유순화 (2007).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에 관한 학생들의 기대와 지각. 초등교육연구, 20(1), 355-375.

31.

유형근 (2002). 초등학교의 학교상담 교육과정 구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미경 (2005). 학습동기 증진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 습관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미봉 (2003).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상희 (1993). 상담회기평가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옥희 (2004).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용자 (1999). 집단상담이 학습된 무기력 감소와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은미 (2003). 학습된 무기력 극복 프로그램이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은영 (2007). 인지적 동기요인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임명숙 (1996). 중학생을 위한 학습동기촉진프로그램의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임은미 (1998). 학업동기 및 부모행동과 학업성취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정미경 (1999).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구조모형 검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정미경 (2003).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검사개발. 교육학연구, 41(4), 157-182.

43.

조병곤 (2002). 학습동기 증진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된 무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조은문, 이종연 (2010). 중학생의 동기조절전략과 자기결정동기 및 학업성취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7(3). 405-428.

45.

조재승 (2003).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 습관에 미치는 영향. 여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최옥현 (2000).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이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Abramson, L. Y., Seligman, M. E., & Teasdale, J. D. (1978). Learned helplessness in humans: Critique and reformula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7, 49-74.

48.

Anderman, E. (1996). The middle school experience: Effects on the math and science achievement of adolescents with LD.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1, 128-138.

49.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50.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51.

Hidi, S., & Renninger, K. A. (2006). The four- phase model of interest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41(2), 111-127.

52.

Legault, L., Green-Demers, I., & Pelletier, L. (2006). Why do high school students lack motivation in the classroom?: Toward an understanding of academic motivation and the role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8(3), 567-582.

53.

Pajares, F. (1996). Self-efficacy beliefs in academic setting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6, 543-578.

54.

Pelletier, L. G., Dion, S., Tucson, K., & Green- Demers, I. (1999). Why do people fail to adopt environmental behaviors?: Toward a taxonomy of environmental amotivation. Journal of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29(12), 2481–2504.

55.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56.

Purdie, J. S., Hattie, J., & Douglas, G. (1996). Student conceptions of learning and their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 cross- cultural comparis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8, 87-100.

57.

Ryan, R. M., & Deci, E. L. (2002).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 dialectical perspective. In E. L. Deci & R. M. Ryan(Eds.),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3-33).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58.

Seligman, M. E. P. (1975). Learned helplessness. Annual Review of Medicine, 23, 407-412.

59.

Stiles, W. B., & Snow, J. S. (1984a). Counseling session impact as viewed by novice counselors and their cli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 3-12.

60.

Sussman, P. (2001). Handbook of Program Development for Health Behavior: Research & Practice. New York: Sage.

61.

Wolters, C., (1999). The rel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al regulation and their use of learning strategies, effort, and classroom performance.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 281-299.

62.

Wolters, C., & Rosenthal, H. (2000).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motivational beliefs and their use of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3(2), 801-820.

63.

Zimmerman, B. J., Bandura, A., & Martinez-Pones, M. (1992).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 sett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9(3), 663-676.

64.

Zimmerman, B. J., & Martinez-Pones, M. (1990). Student difference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s,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ies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51-59.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