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Effects of Social-Skill-Improvement Program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Adolescents from Broken Family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linguistic-social-skill-improvement program and a merit-improvement-focused program and a merit-improvement-focused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adolescents from broken family. For this purpose were two quantitative studies and one qualitative case study conducted. Five adolescents (three boys and two girls with mean age of 13 years) from broken family participated across all three studies. In Study 1, a linguistic-social-skill-improvement program was exercised six times over 35 days.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participants, their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measured three times: before, right after, and one month after practice of the program. In Study 2, a merit-improvement-focused program was exercised six times over 25 days.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participants, their happiness, experience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and sociability were measured three times in a way similar to Study 1. Results indicated that both of the programs were useful in improving those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social and developmental contexts of the adolescent participants.

keywords
결손가정 청소년, 사회기술 항상 프로그램, 심리적 안녕, 대인관계, adolescents form broken family, social-skill-improvement program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

Reference

1.

강지영 (2008).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결손 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의 대인불안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미영 (1989). 의사소통훈련이 중학생의 인간고나계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연옥. (2005). 가족복지론. 서울 나남출판

4.

김혜란 (2007).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통한 해결중심 상담연구: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원희 (1987). 결손가정학생의 성격특성.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진재 외 (2002). 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기술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유아연구학회 22(2) 57-84.

7.

박혜경 (2010). 일반계 고등학생의 성격적 강점이 학업성취와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반금남 (2008).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새의 자아탄력성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변창진, 김성희 (1980). 주장훈련프로그램. 경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경북대학생지도연구, 13(1), 51-58.

10.

손병규 (2006). 결손가정 청소년들의 자존감이대인 관계와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송혜영 (2003). 형태적 결손가정, 기능적 결손가정 그리고 정상가정 자녀의 감성지능 비교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신경년 (2009). 사회기술훈련이 결손가정 아동의자아존중감, 자기표현 및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민향 (2001). 가출청소년에 대한 사회기술훈련집단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신선미 (2012). 결손가정 쳥소년을 위한 사회기술향상 프로그램의 사례연구. 중앙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심미란 (2008). 대인관계향상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과 갈등해결방식에 미치는효과. 고신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양소영, 전영주 (2002).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편부모가족 아동에의 적용. 학국가족치료학회지,10(2), 75-103.

17.

오미자 (2004).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사회적 고립아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유능감및 사회기술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오승환 (2003). 빈곤지역 거주 아동의 학대에대한 생태체계적 영향요인. 한국아동권리학회, 7(2), 451-473.

19.

이삼연 (2002). 이혼가정 청소년의 적응에 간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0, 37-65

20.

이정희 (2000).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외현화아동의 교우관계, 자아존중감,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춘자 (2000). 사회적 기술 훈련이 아동의 교우관계, 학급활동 및 사회적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유정이 (2002). 따돌림 아동을 위한 사회적 기술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용주 (2010). 청소년의 성격적 강점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임영진 (2010). 성격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전지현 (1995).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이 국민학생의 부끄러움 수준과 주장성 및 사회성에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문자 (2008). 해결중심단기치료 서울: 학지사.

27.

조아미, 한상철, 박성희 (1997). 청소년 심리학.서울: 양서원.

28.

조영순 (2004).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이편모가정 중학생의 가지효능감과 대인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9.

조흥식 (1997). 가족복지학. 서울: 학지사.

30.

지승희 (2006). 위기청소년 실태 조사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31.

지혜영 (2009). 사회적 기술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병식 (2001).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결손가정청소년의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3.

최은영 (2007).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사회성향상을 위한 자기성장 프로그램 연구. 서울신학대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홍경임 (2008). Seligman의 행복결정요인의 기여도에 대한 믿음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홍미나 (2004). 사회적 기술훈련 중심 분노조절프로그램이 남자중학생의 분노와 대인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홍종숙, 송영혜 (2005). 놀이중심의 자기표현훈련이 고립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영향. 놀이치료연구, 9(2), 63-78.

37.

Argyle, M., Trower, P. E., & Bryant, B. M. Social skills and mental health. London: Methuen & Co Ltd, 1978.

38.

Berndt, T. J., & Perry, T. B. (1986). Children's perceptions of friendships as supportive relationships. Developmental Psychology, 22, 640-648.

39.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Valle & M. King (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pp.48-71).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0.

Guralnick, M. J. (1990). Peer interactions and the development of handicapped children's social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In H. Foot, M. Morgan, & R. Shute (Eds.), Children helping children (pp.275-305). Chichester: John Wiley & Sons.

41.

Harris, E. S. (1991). Adolescent bereavement following the death of perent; an explatory study. Chil psychology & human development No.4

42.

Hart, B. (1985). Language through conversation: A model for intervention with language-delayed persons. In S. Warren, & A. K. Rogers-Warren(Eds.), Teaching functional language (pp.63-88). Austin: Pro-ed.

43.

Hops, H. (1983)).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kil: Current research practices and future directions. Behavior Therapy, 38, 1017-1024.

44.

Kane, R. A. (1991). Effects of student support group counseling in a student assistance program(SAP) on grades, attendance, discipline, and suicidal orientatio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45.

Linley, P. A., Maltby, J., Wood, A. M., Joseph, S., Harrington, s., Peterson, C., Park, N., & seligman. M. E. P.(2007). Character strengths in the united kingdom: The via inventory of strengths. Personality and Indivedual differences, 43(2), 341-351.

46.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weel-be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 603-619.

47.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6). Character strengths in fifty-for nations and the fifty US states.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 118-129.

48.

Park, N. Peterson, C. (2008). Positive psychology and character strengths: Apllication to strenghtsbased school counseling. Professional School Couaseling, 12(2), 85-92.

49.

Rice, M. L. (1993). “Don't talk to him; He's weird”: A social comsequences account of language and social interactions. In A. Kaiser, & D. Gray (Eds), Communic ation and language intervention Vol 2. Enhancing children's communication: Research foundations for intervention (pp.139-158). Baltimore:Paul H. Brookes Publishing Co.

50.

Park, N. (2009). Building strengths of character: Keys to positive youth development. Reclaiming children and youth, 18(2), 42-47.

51.

Weinstein, T. M. (1994). The application of developmental couseling and therapy(DCT) theory to group treatment of binge eating and weight management.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52.

Windsor, J. (1995). Language impairment and social competence. In M. E. Fey, J. Windsor, & S. F. Warren.(Eds.), Communication and janguage interveation: Vol. 5. Language iaterveation (pp.213-238).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